코파 델 레이 2012-1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델 레이 2012-13은 2012년 8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진행된 스페인의 축구 컵 대회이다. 1라운드는 2012년 8월에 시작되었으며, 결승전은 2013년 5월 17일 레알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렸다. 결승전에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레알 마드리드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득점 순위는 디에고 코스타가 8골로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축구 - 2013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2013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2013년 9월 18일부터 28일까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타히티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개최되었으며, 러시아가 스페인을 꺾고 우승했고 브루누 자비에르가 골든볼, 드미트리 시신이 골든슈를 수상했다. - 2013년 축구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FIFA 주관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어 브라질, 각 대륙 선수권 우승팀, 2010년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 등 8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으며, 골라인 기술이 처음 사용되고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는 등 여러 화제를 낳았다. - 2012년 축구 - 2012년 OFC 네이션스컵
2012년 OFC 네이션스컵은 솔로몬 제도에서 개최된 오세아니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하여 타히티가 우승을 차지하고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진출했다. - 2012년 축구 -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클랜드 시티 FC가 AS 테파나를 꺾고 우승하여 201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클럽 축구 대회이며, 마넬 엑스포시토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02-03
코파 델 레이 2002-03은 스페인 축구 협회가 주관한 코파 델 레이의 99번째 시즌으로, RCD 마요르카가 결승전에서 레크레아티보 우엘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10-11
코파 델 레이 2010-11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축구 컵 대회이며,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코파 델 레이 2012-13 | |
---|---|
대회 정보 | |
대회 | 코파 델 레이 |
시즌 | 2012–13 |
기타 명칭 | 제111회 코파 델 레이 |
국가 | 스페인 |
참가 팀 수 | 83 |
우승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우승 횟수 | 10 |
준우승 | 레알 마드리드 |
총 경기 수 | 112 |
총 득점 | 288 |
경기당 평균 득점 | 2.57 |
최다 득점자 | 디에고 코스타 (8골) |
이전 시즌 | 2011–12 |
다음 시즌 | 2013–14 |
일정 | |
대회 기간 | 2012년 8월 29일 ~ 2013년 5월 17일 |
2. 일정
단계 | 추첨 날짜 | 경기 날짜 | 편성 쌍 수 | 구단 수 | 비고 |
---|---|---|---|---|---|
1라운드 | 2012년 8월 3일[137] | 2012년 8월 29–30일 | 18 | 83 → 65 | 3부 및 2부 B 리그 구단들이 합류 2부 B 리그 소속 7개 구단은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 단판 경기 (원정 다득점 원칙 미반영) |
2라운드 | 2012년 9월 11–12일 | 22 | 65 → 43 | 2부 리그 구단들이 합류. 1라운드 참가 구단들 중 1개 구단은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2부 리그 구단들은 상호 맞대결 단판 경기 (원정 다득점 원칙 미반영) | |
3라운드 | 2012년 9월 14일[177] | 2012년 10월 17–18일 | 11 | 43 → 32 | 2부 B 및 3부 리그 구단들 중 부전승 혜택을 보지 못한 한 구단이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2부 리그 구단들은 상호 맞대결 단판 경기 (원정 다득점 원칙 미반영) |
32강전 | 2012년 10월 18일[190] | 2012년 10월 30, 31일; 11월 1일 | 16 | 32 → 16 | 1부 리그 구단들이 합류 유럽대항전에 참가하는 7개 1부 리그 구단들이 나머지 2부 B 및 3부 리그 구단들과 맞대결 남은 2부 리그 5개 구단은 1부 리그 구단들과 맞대결 나머지 1부 리그 구단들은 상호 맞대결 |
2012년 11월 27–29일[225][226] | |||||
16강전 | 2012년 12월 11–13일[225][226] | 8 | 16 → 8 | rowspan="2" align="center"| | |
2013년 1월 8–10일[190][134][135][136] | |||||
8강전 | 2013년 1월 15–17일[190][134][135][136] | 4 | 8 → 4 | rowspan="2" align="center"| | |
2013년 1월 23–24일[190][134][135][136] | |||||
준결승전 | 2013년 1월 30–31일[190][134][135][136] | 2 | 4 → 2 | rowspan="2" align="center"| | |
2013년 2월 26–27일[190][134][135][136] | |||||
결승전 | 2013년 5월 17일 | 1 | 2 → 1 | align="center"| |
2012-13 시즌 코파 델 레이에는 다음과 같은 구단들이 참가했다.[192][64]
본선 추첨은[189] 2012년 10월 18일 12:00 (CEST)에 마드리드 라스 로사스의 축구 도시에서 진행되었다.[190] 본선에는 1부 리그의 모든 구단이 합류했다.[191]
아틀레틱 빌바오와 에이바르 간의 32강 2차전 경기 및 그와 관련된 16강 경기는 UEFA 주관 키랴트 슈모나와 아틀레틱 간의 경기 일정 조정으로 인해 연기되었다.[225]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은 경기일자를 12월 12일로 연기했고,[226] 이와 관련된 16강전 경기도 1주 뒤로 연기되었다. 본래 16강 2차전 경기는 12월 18일과 19일에 치를 예정이었으나,[190] 대회 일정 지연 및 구단 간 합의, 텔레비전 중계사의 결정으로 16강 2차전은 1월 8–10일, 8강전은 1월 30일까지로 연기되었으며, 준결승 2차전은 2013년 2월 27일경으로 연기되었다.[134][135][136]
3. 참가 구단
라리가 2011-12의 20개 구단:아틀레틱 빌바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베티스 에스파뇰 헤타페 그라나다 레반테 말라가 마요르카 오사수나 라싱 산탄데르 라요 바예카노 레알 마드리드 레알 소시에다드 세비야 스포르팅 히혼 발렌시아 비야레알 사라고사
세군다 디비시온 2011-12의 20개 구단 (바르셀로나 B와 비야레알 B는 2군임에 따라 제외):
세군다 디비시온 B 2011-12의 25개 구단 (4개조 상위 5개 구단(2군 제외)과 나머지 2군이 아닌 구단들 중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5개 구단 (*)):테네리페 루고 알바세테 오비에도 라 로다 미란데스 폰페라디나 에이바르 아모레비에타 로그로녜스 아틀레티코 발레아레스 오리우엘라 우라칸 발렌시아 바달로나 랴고스테라 카디스 리넨세 루세나 하엔 멜리야 산 로케* 로스피탈레트* 알라베스* 례이다 에스포르티우* 카세레뇨*
테르세라 디비시온 2011-12의 18개 구단 (18개조에서 각각 우승을 거둔 구단들(혹은 2군이 우승한 조에서 2군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구단들)):오우렌세 카우달 데 미에레스 노하 라우디오 프라트 카타로하 푸엔라브라다 레알 아빌라 로하 아틀레티코 산루케뇨 콘스탄시아 마리노 데 로스 크리스티아노스 예클라노 아로요 페냐 스포르트 로그로녜스 에헤아 비야로블레도
4. 경기 결과
이전과 마찬가지로 32강전 대진표는 다음과 같이 짜였다: 남은 2부 B와
3부 리그 구단들은 유럽대항전에 참가하는 1부 리그 구단들과 편성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1포트(2부 B)의 구단들은 2A포트(챔피언스리그)의 4개 구단과 짝지어졌고, 나머지 1포트의 3개 구단도 2B포트(유로파리그) 구단들과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3포트(2부 리그) 5개 구단들은 남은 13개 1부 리그 구단들(4포트)과 짝지어졌다. 남은 8개 라 리가 구단들은 맞대결을 펼쳤다. 다른 리그에 소속된 구단들 간의 맞대결의 경우 1차전 경기는 하부 리그 구단의 안방에서 펼쳐졌고, 같은 리그 소속 구단들과의 맞대결의 경우 추첨함에서 먼저 나온 구단이 1차전 안방 경기를 치렀다.[192] 이 규정은 16강전에도 적용되었지만, 8강전과 준결승전에는 적용되지 않았고, 경기 순서는 추첨함에서 나오는 순서대로 정해졌다.[190]
추첨 당시, 라스 팔마스와 라싱 산탄데르의 경기 결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였다.(이 경기는 추첨 당일에 치러졌다)1포트
(세군다 디비시온 B)2A포트
(챔피언스리그)2B포트
(유로파리그)3포트
(세군다 디비시온)4포트
(나머지 라 리가 구단)알라베스
알코야노
카세레뇨
에이바르
하엔
랴고스테라
멜리야바르셀로나 (전 시즌 우승)
레알 마드리드
발렌시아
말라가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레반테
아틀레틱 빌바오알메리아
코르도바
라스 팔마스
폰페라디나
스포르팅 히혼베티스
셀타 비고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헤타페
그라나다
마요르카
오사수나
라요 바예카노
레알 소시에다드
세비야
바야돌리드
사라고사
=== 32강전 ===
32강전은 2012년 10월 18일[189] 마드리드 라스 로사스의 축구 도시에서 추첨되었다.[190] 1부 리그의 모든 구단이 본선에 합류했다.[191]
32강전 대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남은 2부 B와 3부 리그 구단들은 유럽대항전에 참가하는 1부 리그 구단들과 짝지어졌다. 2부 B 구단들은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는 4개 구단, 나머지 2부 B 3개 구단은 유로파리그 참가 구단과 맞붙었다. 2부 리그 5개 구단들은 남은 13개 1부 리그 구단들과 맞대결을 펼쳤고, 나머지 8개 라 리가 구단들은 서로 맞붙었다. 다른 리그 소속 구단 간의 경기는 하부 리그 구단의 안방에서 1차전이 열렸고, 같은 리그 소속 구단 간의 경기는 추첨 순서에 따라 1차전 홈팀이 결정되었다.[192]
1차전은 2012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2차전은 아틀레틱 빌바오 – 에이바르 경기를 제외하고[226] 2012년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다.[190] 아틀레틱 빌바오와 에이바르 간의 2차전은 2012년 12월 12일에 열렸는데, 이는 같은 날 하이파에서 열린 유로파리그 경기 일정 때문에 연기된 결과였다.[225] 이 경기의 승자는 16강전도 1주일 뒤로 연기되었다.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알메리아 2–3 (연) 셀타 비고 2–0 0–3 알코야노 1–7 레알 마드리드 1–4 0–3 스포르팅 히혼 1–2 오사수나 1–0 0–2 랴고스테라 1–5 발렌시아 0–2 1–3 코르도바 4–2 레알 소시에다드 2–0 2–2 알라베스 1–6 바르셀로나 0–3 1–3 에이바르 1–1 (원) 아틀레틱 빌바오 0–0 1–1 카세레뇨 4–4 (원) 말라가 3–4 1–0 하엔 0–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0–3 0–1 폰페라디나 0–4 헤타페 0–4 0–0 라스 팔마스 1–0 라요 바예카노 1–0 0–0 바야돌리드 0–3 베티스 1–0 0–3 멜리야 2–4 레반테 1–0 1–4 사라고사 2–2 (원) 그라나다 1–0 1–2 데포르티보 1–1 (원) 마요르카 1–1 0–0 세비야 6–1 에스파뇰 3–1 3–0
=== 16강전 ===
16강전 1차전은 2012년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었고, 에이바르와 말라가의 경기는 12월 18일에 열렸다.[190] 2차전은 2013년 1월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었다.[134] 소속 리그가 다른 팀 간의 경기에서는 하부 리그 구단이 1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는데,[190] 바르셀로나와 코르도바의 경기가 이에 해당한다.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라스 팔마스 1–2 베티스 1–1[233] 0–1[241] 레반테 0–3 사라고사 0–1[232] 0–2[238] 마요르카 2–6 세비야 0–5[228] 2–1[237] 오사수나 1–4 발렌시아 0–2[227] 1–2[236] 에이바르 2–5 말라가 1–1[234] 1–4[235]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0 헤타페 3–0[230] 0–0[240] 코르도바 0–7 바르셀로나 0–2[229] 0–5[242] 셀타 비고 2–5 레알 마드리드 2–1[231] 0–4[239]
=== 8강전 ===
2012-13 시즌 코파 델 레이 8강전은 2013년 1월 15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다.[134] 1차전은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2차전은 1월 23일과 24일에 열렸다.
=== 준결승전 ===
1차전은 2013년 1월 30일과 31일에, 2차전은 2013년 2월 26일과 27일에 진행되었다.[134]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레알 마드리드 | 4–2 | 바르셀로나 | 1–1 | 3–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3 | 세비야 | 2–1 | 2–2 |
==== 레알 마드리드 대 FC 바르셀로나 ====
2013년 1월 30일, CET 21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의 1차전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123] 레알 마드리드의 바란이 후반 81분에, 바르셀로나의 파브레가스가 후반 50분에 각각 득점하였다. 관중은 83,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카를로스 클로스 고메스가 맡았다.
2013년 2월 26일, CET 21시, 캄 노우에서 열린 2차전 경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바르셀로나를 3-1로 꺾었다.[125] 이로써 1, 2차전 합계 4-2로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레알 마드리드의 호날두는 페널티킥을 포함하여 두 골을 넣었고(전반 13분, 후반 57분), 바란이 후반 68분에 한 골을 추가했다. 바르셀로나는 알바가 후반 89분에 한 골을 만회하였다. 관중은 95,002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옝코가 맡았다.
==== 기타 준결승 경기 ====
2013년 1월 31일, CET 22시,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세비야의 1차전 경기는 2-1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승리했다.[25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코스타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을 넣었고(후반 50분, 71분), 세비야는 네그레도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넣었다(후반 56분). 관중은 45,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미겔 앙헬 아이사 가메스가 맡았다.
2013년 2월 27일, CET 22시, 산체스 피스후안에서 열린 세비야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2차전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254] 이로써 1, 2차전 합계 4-3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결승에 진출하였다. 세비야의 나바스(전반 39분)와 라키티치(후반 추가시간)가 득점하였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코스타(전반 6분)와 팔카오(전반 29분)가 득점하였다. 관중은 45,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페르난도 테이세이라 비티에네스가 맡았다.
=== 결승전 ===
2013년 5월 17일 금요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이 열렸다.[255] 8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으며,[256] 주심은 카를로스 클로스 고메스였다.
결승전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맞붙었으며, 경기는 연장전까지 이어졌다. 호날두가 전반 14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전반 35분 코스타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연장 전반 8분, 미란다가 결승골을 넣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1로 승리했다.[127]
4. 1. 1라운드
2012-13 시즌 코파 델 레이 1라운드 추첨은 2012년 8월 3일 13:00 CEST에 마드리드 라스 로사스의 축구 도시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본부에서 진행되었다.[137] 1라운드에는 2부 B와 3부 리그의 36개 구단이 참가했으며, 경기는 2012년 8월 29일과 30일에 진행되었다.리넨세, 하엔, 멜리야, 우라칸 발렌시아, 루세나, 테네리페, 그리고 례이다 에스포르티우는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1라운드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8월 29일, 노하는 아모레비에타를 연장 접전 끝에 3-2로 꺾었다.[138]
- 같은 날 로스피탈레트는 오리우엘라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39]
- 카우달 데 미에레스는 마리노 데 로스 크리스티아노스에 2-0으로 승리했다.[140]
- 프라트는 짐나스틱을 2-1로 이겼다.[139]
- 로그로녜스는 로그로녜스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141]
- 라우디오는 에이바르에 0-1로 패했다.[142]
- 에헤아는 페냐 스포르트를 연장전 끝에 4-2로 꺾었다.[143]
- 알코야노는 아틀레티코 발레아레스를 2-0으로 이겼다.[144]
- 랴고스테라는 바달로나에 1-0으로 승리했다.[139]
- 알바세테는 로하를 4-0으로 대파했다.[145]
- 카타로하는 알라베스에 0-2로 패했다.[146]
- 오우렌세는 레알 아빌라를 2-1로 이겼다.[147]
- 콘스탄시아는 예클라노에 3-0 완승을 거두었다.[148]
- 카디스는 산 로케를 3-2로 꺾었다.[149]
- 아로요는 라 로다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150]
- 비야로블레도는 카세레뇨에 1-3으로 패했다.[151]
8월 30일에는 오비에도가 푸엔라브라다를 2-0으로 꺾었고,[152] 아틀레티코 산루케뇨는 카르타헤나에 1-0으로 승리했다.[153]
4. 2. 2라운드
2012-13 시즌 코파 델 레이 2라운드 경기는 2012년 9월 11일과 12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라운드에는 세군다 디비시온의 모든 팀이 참가했다.[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172][173][174][175][176]9월 11일, 사바델은 에르쿨레스를 2-0으로 꺾었고,[154] 알메리아는 무르시아를 2-0으로 이겼다.[155] 미란데스는 레크레아티보에 2-0 승리를 거두었으며,[156] 알코르콘은 누만시아를 4-1로 크게 이겼다.[157]
9월 12일, 로스피탈레트와 노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노하가 4-3으로 승리했다.[158] 우라칸 발렌시아와 알바세테의 경기도 연장전 끝에 1-1 무승부를 기록, 승부차기에서 우라칸 발렌시아가 4-2로 이겼다.[159] 알라베스는 아틀레티코 산루케뇨를 2-1로 꺾었고,[160] 랴고스테라는 에헤아에 1-0으로 승리했다.[161] 코르도바는 연장전 끝에 엘체를 1-0으로 이겼다.[162]
콘스탄시아와 오우렌세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겼고, 승부차기에서 콘스탄시아가 3-1로 승리했다.[163] 례이다 에스포르티우는 에이바르에 0-2로 패했다.[164] 오비에도와 프라트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프라트가 5-4로 승리했다.[165] 알코야노는 테네리페를 1-0으로 꺾었다.[166] 루세나는 로그로녜스를 4-1로 이겼다.[167] 카디스는 아로요에 1-2로 패했다.[168]
리넨세와 멜리야는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멜리야가 6-5로 승리했다.[169][170] 스포르팅 히혼은 지로나를 2-0으로 꺾었고,[171] 우에스카는 과달라하라를 2-1로 이겼다.[172] 루고는 라싱 산탄데르에 0-1로 패했다.[173] 헤레스는 라스 팔마스에 0-1로 패했다.[174] 하엔은 카우달 데 미에레스를 2-0으로 꺾었다.[175] 비야레알은 폰페라디나에 0-2로 패했다.[176]
한편, 카세레뇨는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4. 3. 3라운드
3라운드 추첨은 2012년 9월 14일 13:00 (CEST)에 축구 도시에서 진행되었다.[177] 알코야노는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2012년 10월 17일, 노하는 하엔과의 경기에서 0-1로 패했다.[178] 같은 날 우라칸 발렌시아는 알라베스에 1-2로, 에이바르는 아로요에 1-0으로 승리했다.[179][180] 콘스탄시아와 멜리야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1-1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승부차기에서 멜리야가 8-7로 승리했다.[181] 프라트는 랴고스테라에 연장전 끝에 2-3으로 패했다.[182]
루세나는 카세레뇨에 1-3으로 패했고,[183] 알메리아는 알코르콘을 3-0으로 완파했다.[184] 사바델은 코르도바에 연장전 끝에 0-1로 패했다.[185] 우에스카와 폰페라디나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폰페라디나가 4-3으로 승리했다.[186] 스포르팅 히혼은 미란데스를 2-1로 이겼다.[187]
10월 18일, 라스 팔마스는 라싱 산탄데르와의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4-2로 승리했다.[188]
4. 4. 32강전
32강전은 2012년 10월 18일[189] 마드리드 라스 로사스의 축구 도시에서 추첨되었다.[190] 1부 리그의 모든 구단이 본선에 합류했다.[191]32강전 대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남은 2부 B와 3부 리그 구단들은 유럽대항전에 참가하는 1부 리그 구단들과 짝지어졌다. 2부 B 구단들은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는 4개 구단, 나머지 2부 B 3개 구단은 유로파리그 참가 구단과 맞붙었다. 2부 리그 5개 구단들은 남은 13개 1부 리그 구단들과 맞대결을 펼쳤고, 나머지 8개 라 리가 구단들은 서로 맞붙었다. 다른 리그 소속 구단 간의 경기는 하부 리그 구단의 안방에서 1차전이 열렸고, 같은 리그 소속 구단 간의 경기는 추첨 순서에 따라 1차전 홈팀이 결정되었다.[192]
1차전은 2012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2차전은 아틀레틱 빌바오 – 에이바르 경기를 제외하고[226] 2012년 1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다.[190] 아틀레틱 빌바오와 에이바르 간의 2차전은 2012년 12월 12일에 열렸는데, 이는 같은 날 하이파에서 열린 유로파리그 경기 일정 때문에 연기된 결과였다.[225] 이 경기의 승자는 16강전도 1주일 뒤로 연기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메리아 | 2–3 (연) | 셀타 비고 | 2–0 | 0–3 |
알코야노 | 1–7 | 레알 마드리드 | 1–4 | 0–3 |
스포르팅 히혼 | 1–2 | 오사수나 | 1–0 | 0–2 |
랴고스테라 | 1–5 | 발렌시아 | 0–2 | 1–3 |
코르도바 | 4–2 | 레알 소시에다드 | 2–0 | 2–2 |
알라베스 | 1–6 | 바르셀로나 | 0–3 | 1–3 |
에이바르 | 1–1 (원) | 아틀레틱 빌바오 | 0–0 | 1–1 |
카세레뇨 | 4–4 (원) | 말라가 | 3–4 | 1–0 |
하엔 | 0–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0–3 | 0–1 |
폰페라디나 | 0–4 | 헤타페 | 0–4 | 0–0 |
라스 팔마스 | 1–0 | 라요 바예카노 | 1–0 | 0–0 |
바야돌리드 | 0–3 | 베티스 | 1–0 | 0–3 |
멜리야 | 2–4 | 레반테 | 1–0 | 1–4 |
사라고사 | 2–2 (원) | 그라나다 | 1–0 | 1–2 |
데포르티보 | 1–1 (원) | 마요르카 | 1–1 | 0–0 |
세비야 | 6–1 | 에스파뇰 | 3–1 | 3–0 |
4. 5. 16강전
16강전 1차전은 2012년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었고, 에이바르와 말라가의 경기는 12월 18일에 열렸다.[190] 2차전은 2013년 1월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었다.[134] 소속 리그가 다른 팀 간의 경기에서는 하부 리그 구단이 1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는데,[190] 바르셀로나와 코르도바의 경기가 이에 해당한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라스 팔마스 | 1–2 | 베티스 | 1–1[233] | 0–1[241] |
레반테 | 0–3 | 사라고사 | 0–1[232] | 0–2[238] |
마요르카 | 2–6 | 세비야 | 0–5[228] | 2–1[237] |
오사수나 | 1–4 | 발렌시아 | 0–2[227] | 1–2[236] |
에이바르 | 2–5 | 말라가 | 1–1[234] | 1–4[235]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3–0 | 헤타페 | 3–0[230] | 0–0[240] |
코르도바 | 0–7 | 바르셀로나 | 0–2[229] | 0–5[242] |
셀타 비고 | 2–5 | 레알 마드리드 | 2–1[231] | 0–4[239] |
4. 6. 8강전
2012-13 시즌 코파 델 레이 8강전은 2013년 1월 15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다.[134] 1차전은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2차전은 1월 23일과 24일에 열렸다.- 레알 마드리드와 발렌시아의 1차전은 1월 15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렸으며, 벤제마의 득점과 과르다도의 자책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243] 1월 23일 발렌시아의 메스타야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T. 코스타와 벤제마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 합계 3-1로 레알 마드리드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248]
- 사라고사와 세비야의 1차전은 1월 16일 사라고사의 라 로마레다에서 0-0 무승부로 끝났다.[244] 1월 23일 세비야의 라몬 산체스 피스후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네그레도의 두 골과 라키티치, 마누 델 모랄의 득점에 힘입어 세비야가 4-0 대승을 거두며 합계 4-0으로 4강에 진출했다.[247]
- 바르셀로나와 말라가의 1차전은 1월 16일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렸으며, 이투라와 카마초가 득점하고 메시와 푸욜이 득점하여 2-2 무승부를 기록했다.[245] 1월 24일 말라가의 라 로살레다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페드로, 피케, 이니에스타, 메시가 득점하고, 호아킨과 산타 크루스가 득점하여 바르셀로나가 4-2로 승리, 합계 6-4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25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베티스의 1차전은 1월 17일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렸으며, 팔카오와 필리피 루이스의 득점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246] 1월 24일 세비야의 베니토 비야마린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몰리나와 코스타가 각각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 합계 3-1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249]
4. 7. 준결승전
1차전은 2013년 1월 30일과 31일에, 2차전은 2013년 2월 26일과 27일에 진행되었다.[134]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레알 마드리드 | 4–2 | 바르셀로나 | 1–1 | 3–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3 | 세비야 | 2–1 | 2–2 |
2013년 1월 30일, CET 21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의 1차전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251] 레알 마드리드의 바란이 후반 81분에, 바르셀로나의 파브레가스가 후반 50분에 각각 득점하였다. 관중은 83,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카를로스 클로스 고메스가 맡았다.
2013년 2월 26일, CET 21시, 캄 노우에서 열린 2차전 경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바르셀로나를 3-1로 꺾었다.[253] 이로써 1, 2차전 합계 4-2로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레알 마드리드의 호날두는 페널티킥을 포함하여 두 골을 넣었고(전반 13분, 후반 57분), 바란이 후반 68분에 한 골을 추가했다. 바르셀로나는 알바가 후반 89분에 한 골을 만회하였다. 관중은 95,002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옝코가 맡았다.
2013년 1월 31일, CET 22시,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세비야의 1차전 경기는 2-1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승리했다.[25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코스타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을 넣었고(후반 50분, 71분), 세비야는 네그레도가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넣었다(후반 56분). 관중은 45,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미겔 앙헬 아이사 가메스가 맡았다.
2013년 2월 27일, CET 22시, 산체스 피스후안에서 열린 세비야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2차전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254] 이로써 1, 2차전 합계 4-3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결승에 진출하였다. 세비야의 나바스(전반 39분)와 라키티치(후반 추가시간)가 득점하였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코스타(전반 6분)와 팔카오(전반 29분)가 득점하였다. 관중은 45,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페르난도 테이세이라 비티에네스가 맡았다.
4. 7. 1. 레알 마드리드 대 FC 바르셀로나
2013년 1월 30일, CET 21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의 1차전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123] 레알 마드리드의 바란이 후반 81분에, 바르셀로나의 파브레가스가 후반 50분에 각각 득점하였다. 관중은 83,000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카를로스 클로스 고메스가 맡았다.2013년 2월 26일, CET 21시, 캄 노우에서 열린 2차전 경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바르셀로나를 3-1로 꺾었다.[125] 이로써 1, 2차전 합계 4-2로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레알 마드리드의 호날두는 페널티킥을 포함하여 두 골을 넣었고(전반 13분, 후반 57분), 바란이 후반 68분에 한 골을 추가했다. 바르셀로나는 알바가 후반 89분에 한 골을 만회하였다. 관중은 95,002명이 입장하였고, 심판은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옝코가 맡았다.
4. 8. 결승전
2013년 5월 17일 금요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이 열렸다.[255] 8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으며,[256] 주심은 카를로스 클로스 고메스였다.결승전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맞붙었으며, 경기는 연장전까지 이어졌다. 호날두가 전반 14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전반 35분 코스타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연장 전반 8분, 미란다가 결승골을 넣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1로 승리했다.[127]
5. 우승 구단
10번째 우승